높이: 백악산(북악산) 342m.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팔판동ㆍ삼청동ㆍ부암동ㆍ청운동ㆍ궁정동과 성북구 성북동.
유래: 남산에 대칭하여 북악이라 칭하였으며 조선 시대까지 백악산(白岳山),
면악산(面岳山), 공극산(拱極山), 북악산(北岳山) 등으로 불렸고,
특히 조선 시대에는 주로 백악 또는 백악산으로 불렸으며 일부 북악이라고도 불렸다 한다.
특징: 경복궁의 북쪽에 솟아 있는 북악산은 해발 342m로 높지는 않으나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서울의 진산으로 꼽힌다.
옛 서울의 성곽들이 북악산을 기점으로 축조되었고 산 능선을 따라 성벽이 원형에
가깝게 보존되어 있는데 1968년 무장공비 침투 사건으로 일반인의 접근이
금지되었다가 2006년 서울성곽 탐방로로 꾸며져 일반에 공개되었다.
산의 남쪽이 청와대와 이어져 있어 곳곳에 군부대가 있고 예전에 제출하던 신분증은
지금은 필요 없으며 창의문 쪽보다는 경사가 완만한 숙정문 쪽이 애용되고 있다.
조선 시대부터 심긴 노송들이 곳곳에 남아 있어 풍취를 더하는 아름다운 성곽을 따라 정상인
백악마루에 오르면 인왕산의 전경이 코앞에 드러나고 서울 시내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인왕산과 연계해서 산행 코스로도 사랑받고 있으며 오전 10시와 오후 2시, 두 번에 걸쳐
해설사로부터 서울성곽의 역사에 대해 듣는 의미 있는 시간도 가질 수 있다.
등산코스: [말바위안내소]
와룡공원 - 말바 위안 내소 - 숙정문 - 곡장 - 청운대 - 백악산 - 창의문안내소
[창의문안내소]
창의문안내소 - 백악산 - 청운대 - 곡창 - 숙정문 - 말바 위안 내소 - 와룡공원
[삼청안내소]
삼청안내소 - 법흥사터 - 청운대전망대 - 청운대 - 백악산- 창의문안내소
입장시간: 하절기(4월-10월) 07:00-15:00.
동절기 (11월-3월) 07:00-15:00.
※오후5시까지 하산하여야 합니다.
해설 프로그램: 매일 10시 14시 말마위안내소. 창의문 안내소.
대중교통: [말바위 안내소(와룡공원)]
3호선 안국역 2번 출구-종로 02번 버스 탑승-종점 성대 후문- 와룡공원(10분)
4호선 혜화역 1번출구-종로 08번 버스 탑승-종점 하차-와룡공원 (10분 도보)
[숙정문 안내소]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출구
1111번,2112번 버스 탑승 -종점 명수학교 하차, 숙정문 안내소 및 와룡공원(도보 10분)
[창의문 안내소(자하문)]
3호선 경복궁역 3번출구
1020번, 7022번, 7212번 버스 탑승-자하문고개 하차.
[삼청 안내소]
1, 2호선 시청역 4번 출구, 5호선 광화문역 2번 출구에서
종로 11번 마을버스 이용 삼청공원 하차.
1호선 종각역 3-1번 출구에서 종로 02번 마을버스 이용 감사원 하차.(삼청공원 도보 3분)
◈등산지도◈
오늘은 국민대 맞은편에서 출발해 김신조 루트를 거쳐 말바위 쉼터, 곡장 전망대
(52년 만에 개방된 길), 청운대, 백악산, 창의문으로 하산하기로 한다.
♣산행코스♣ (클릭 후 원본 파일)
길음역에서 153, 171, 1213, 7211번을 이용 이곳 국민대 앞에서 하차해 횡단보도를 건넌다.
도로를 따라 북악터널 입구까지 올라와 좌측으로 들어선다.
새 북악 약수터.
약수터 전경.
여래사 방향으로~.
통일 기원문 비석.
넘어서면 여래사를 들러 등산로로 이어지고 아니면 등산로 방향으로 가면 된다.
여래사 일주문.
여래사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항일투쟁하시다 신명을 바치신 호국선열들의 위패가 모셔진 호국사찰로 유명하다.
여기에 모셔진 대다수가 무후선열이며 대한민국장 이준 열사 외 21분을 포함하여 총 373분의 위패가
모셔진 곳이다.
철 대문을 열고 우측으로 올라가면 된다.
삼거리 이정표에서 직진으로(하늘교 방향으로) 간다. (하늘다리 방향으로 가면 안 됨)
하늘교 앞 정자.
이곳에서 팔각정과 호경암으로 갈라진다. (호경암으로)
하늘교.
여기서부터 김신조 루트가 시작된다.
김신조 루트.
우측 김신조 루트 길로 가면 된다.
하늘마루 전망대.
북한산 보현봉이 보인다.
공비 3명이 사살된 곳이다.
치열하게 총격전이 벌어진 곳으로 총탄 자국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멀리 백악산 정상이 보인다.
남마루 전망대.
솔바람교.
서마루 전망대.
성북천 발원지이며 김신조 루트의 마지막이 된다.
공사로 인해 출입이 불가능한 숙정문 안내소.
말머리 쉼터로 이동해 성벽 안으로 들어간다.
말머리 쉼터 전망대.
삼청각.
지나온 길.
말머리 안내소.
숙정문.
성벽 사이로 본 팔각정.
광화문 전경.
곡장으로 가는 삼거리.
곡장 전망대.
곡장 전망대에서 바라본 정상으로 이어지는 성곽길.
곡장 전망대를 끼고 돌면 팔각정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새로 개방된 제4 출입구다.
52년 만에 개방된 성벽 외측 탐방로.
52년 만에 개방된 청운대 쉼터에서 곡장 전망대에 이르는 300m 구간의 성벽 외측 탐방로.
기존엔 계단을 넘어 성벽 안쪽으로 다녔다.
우측으로 새로 개방된 청운대 쉼터 제1, 2, 3 출입구다.
멀리 청운대 전망대가 보인다.
청운대 전망대에서 바라본 곡장 전망대.
청운대.
1, 21 소나무.(총 맞은 소나무)
백악산 정상 백악마루.
백악산 정상에서 바라본 인왕산.
하산길.
창의문.
고 정종수 경사 동상.
고 최규식 경무관 동상.
'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른 강변을 끼고 있는 삼악산 등산지도/등산코스. (0) | 2020.11.27 |
---|---|
북한산의 전망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 노고산/등산지도 (0) | 2020.11.18 |
붉게 물든 소요산 등산지도/등산코스 (0) | 2020.10.30 |
파주 개명산 등산지도/등산코스 (0) | 2020.10.26 |
천년의 숲 오대산 전나무숲길 (0) | 2020.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