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 갤러리 (33) 썸네일형 리스트형 애기낙엽버섯 분류: 주름버섯목 > 낙엽버섯과 > 낙엽버섯속. 학명: Marasmius siccus (Schwein.) . 분포지역: 전국. 발생시기: 여름~가을. 자생지: 우리나라 전역에 활엽수의 낙엽에 무리지어 나며 부생생활을 한다. 《특징》 균모의 지름은 1~2cm이고 종 모양 또는 둥근 산 모양이다. 표면은 황토색, 계피색, 연한 붉은색으로 방사상의 줄무늬 홈선이 있다. 살은 아주 얇아 종이와 비슷하며 질기다. 주름살은 바른 주름살 또는 떨어진 주름살로 그 수가 적고 백색이며 성기다. 자루의 길이는 4~7cm, 굵기는 0.1cm 정도이고 위쪽은 백색, 아래쪽은 흑갈색이며 철사처럼 가늘고 질기다. 북한명은 쇠줄락엽버섯이다. 자주졸각버섯 (식용버섯) 분류: 주름버섯목 > 자색돌버섯과 > 졸각버섯속. 학명: Laccaria amethystina Cooke. 분포지역: 전국. 발생시기: 여름에서 가을. 자생지: 양지바른 돌 틈이나 숲 속의 땅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특징》 버섯갓은 지름 1.5~3cm로 처음에 둥근 산 모양이다가 나중에 편평해지지만, 가운데가 파인다. 갓 표면은 밋밋하며 가늘게 갈라져 작 비늘조각처럼 변하고, 자주색이다. 주름살은 올린 주름살로 두껍고 성기며 짙은 자주색인데, 건조하면 주름살 이외에는 황갈색 또는 연한 회갈색이 된다. 버섯 대의 길이 3~7cm, 굵기 2~5mm이고 섬유상이다. 앵두 낙엽버섯 /종이꽃 낙엽버섯 분류: 주름버섯목 > 낙엽버섯과 > 낙엽버섯속. 학명: Marasmius pulcherripes Peck.분포지역: 전국. 발생시기: 여름에서 가을. 자생지: 활엽수림 내에 낙엽에 군생 또는 산생 한다. 《특징》 균모의 지름은 0.8~1.5cm이고 처음 종형에서 둥근 산 모양으로 되며 중앙에 작은 돌출이 있다. 표면에 담홍색-자홍색, 황토색, 계피색의 방사상 줄무늬홈선이 깊게 나 있다. 살은 매우 얇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을 이룬다. 우산 모양으로 색깔이 매우 아름다운 버섯이다. 주름살은 바른 주름살 또는 거의 끝 붙은 주름살로 홍색이고 폭이 좁고 매우 성기다. 자루의 길이는 3~6cm, 굵기는 0.1~0.2cm로 위아래가 같은 굵기다. 대의 표면은 밋밋하고 매우 가늘며 윗부분은 흑적색이고 아.. 등색가시비녀버섯 (식, 독 불분명) 분류: 주름버섯목 > 뽕나무버섯과 > 비녀버섯속. 학명: Cyptotrama asprata (Berk.) Redhead & Ginns. 분포지역: 전국. 발생시기: 여름부터 가을까지. 자생지: 숲 속의 활엽수림에서 넘어진 나무나 떨어진 가지를 썩게 만드는 부생생활을 하며, 홀로 또는 무리 지어 발생한다. 《특징》 균모의 지름은 1~3cm이며 반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한 모양으로 된다. 표면은 오렌지빛의 황색 바탕에 솜털 모양의 오렌지색 인편이 밀포해 있어 아름답다. 가장자리가 주름살보다 돌출되어 있고 살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올린 주름살 또는 바른 주름살로 성기다. 자루의 길이는 1.5~5cm, 굵기는 0.2~0.4cm이고, 속은 살로 차 있다. 자루 .. 큰 주머니광대버섯 큰 주머니광대버섯 (독버섯)분류: 주름버섯목 > 광대버섯과 > 광대버섯 속. 학명: Amanita volvata (Peck) Llyod. 분포지역: 전국. 발생시기: 여름~가을. 자생지: 숲 속의 땅 위에 홀로 또는 무리 지어 발생한다.《특징》 갓의 지름은 5~8cm로 어릴 때는 둥근 산 모양이 되었다가 거의 평평한 모양이 된다. 표면은 백색 또는 연한 홍갈색의 가루상 또는 점상의 작은 인편이 부착되거나 큰 외피막의 파편이 부착되기도 한다. 살은 백색이고 상처를 받으면 연한 홍색으로 된다. 주름살은 자루에 떨어진 주름살로 처음에는 백색이나 나중에 연한 홍갈색으로 되며 폭이 넓으며 촘촘하다. 자루의 길이는 6~14cm, 굵기 0.5~1cm로 백색이며 턱받이가 없다. 아래쪽으로 굵어지며 표면은 .. 진황색난버섯(노랑난버섯) 진황색(노랑) 난버섯 (식, 독불명) 분류: 주름버섯목 > 난버섯과 > 난버섯속. 학명: Pluteus leoninus (Schaeff.) P. Kumm. 분포지역: 전국. 발생시기: 6월~10초. 자생지: 활엽수 고목 등에 홀로 또는 무리 지어 발생한다. 《특징》 버섯갓의 지름은 2~7cm 정도이다. 어릴 때는 종 모양에서 반원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은 털이 없이 매끈하고 어릴 때는 밝은 노란색, 황금빛 노란색에서 오래되면 중황색이 가미된 어두운 노란색으로 되며, 가운데는 좀 진한 색이 된다. 어릴 때는 가운데가 돌출하고 주름이 많이 지지남 점차 평활해지며, 습할 때는 가장자리에 방사상의 선이 나타난다. 살 조직은 연한 노란색~노란색~주황색으로 변해가고 특별한 맛과 냄새는 없다. 주름살은.. 노란(흰, 붉은) 꼭지외대버섯(독버섯) 분류: 주름버섯목 > 외대버섯과 > 외대버섯속. 학명: Entoloma murraii (Berk. & Curt.) Sing. 분포지역: 전국. 발생 시기: 여름에서 가을 사이. 자생지: 숲 속 땅 위에 홀로 또는 무리 지어 발생. 《특징》 갓 위에 꼭지가 톡 튀어나와 붙여진 이름으로 갓의 지름은 1~6cm이고, 원추형~종형이며, 중앙에 유두 같은 돌기가 있다. 갓의 표면은 전체가 황색이고, 습하면 갓 둘레에 홈선이 드러난다. 주름살은 완전붙은형~끝붙은형이고, 약간 성글며, 포자가 성숙하면 담홍색을 띤다. 자루의 크기는 3~10cm, 두게는 2~4mm이며, 위아래 굵기가 같고, 속은 비어 있으며, 약간 뒤틀린 모양이다. 자루의 색깔은 갓과 같은 색 또는 약간 옅은 색이며, 표면은 섬유상이다. 자루의 부착 .. 검은 비늘 버섯의 효능 및 식용법 ◈검은 비늘 버섯 (식용버섯)◈ 분류: 주름버섯목 > 독청버섯과 > 비늘 버섯 속. 학명: Pholiota adiposa (Batsch) P. Kumm. 분포지역: 전국. 발생 시기: 봄~가을. 자생지 겨울을 제외한 계절에 주로 고목 또는 죽은 나무의 줄기 등에서 자생한다. 특히, 그루터기에서 군락 형태로 무리 지어 다발로 발생한다. ◈특징◈ 갓 표면은 습하면 점성이 생기고 황갈색이며 갓 둘레는 담황색이고, 갓 전면에 삼각형의 인편이 많이 있으며 색상은 백색에서 점차 검은 갈색으로 변한다. 갓의 지름 3~8cm로 어릴 때는 둥근 모양이나 차츰 편평하게 펴진다. 가장자리는 처음에는 안쪽으로 말리며 실 모양의 갓 막이 있다. 자실층의 주름살은 완전히 붙은 형이고 다소 촘촘하며, 담황색이나 갈색이다. 유균 때..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