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접사 갤러리

(82)
하늘타리 (하눌타리, 하늘수박) 분류:  제비꽃목 > 박과 > 하늘타리속. 학명: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서식지: 중남부 지방에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덩굴 모양으로 자란다. 개화시기: 꽃은 이가화로서 7~8월에 피며 화경은 수꽃이 15cm, 암꽃이 3cm 정도로                        각 끝에 1개의 꽃이 핀다.  꽃말: 꽃말은 ‘변치 않은 귀여움’이라 한다. 《특징》 박과에 속하는 다년생의 덩굴성 초본식물로 하눌타리라고도 한다. 잎은 어긋나기 하며 단풍잎처럼 5~7개로 갈라지고 각 열 편에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표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 5개로 갈라지며 열 편은 다시 잘게 갈라지고 흰색이며 수술은 3개이다. 꽃잎 가장자리 끝에 실타래처럼 풀어헤친 모습..
라이트리스 스피카타 분류: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국화과 학명: Liatris spicata. 서식지: 햇볕이 잘 비치고 건조한 곳. 개화시기: 6~7월 사이에 자주색 또는 분홍빛이 도는 자주색의 꽃이 핀다. 꽃말: 꽃말은 "고집쟁이, 고결, 팔방미인"이라고 한다. 《특징》 쌍떡잎식물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아메리카 동북부가 원산지다. 단추뱀뿌리(button snakeroot), 미갓털풀(gay feather), 불꽃별풀(blazing star)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메리칸 인디언이 약초로 사용했던 식물로  화단이나 정원에 심으면 좋다. 길고 가느다란 잎은 줄기를 따라 어긋나며 수지점이 나 있기도 하다. 꽃은 6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15~45cm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횃불 모양으로 피어난다. ..
참나리 분류: 백합목 > 백합과 > 백합속. 학명: Lilium lancifolium Thunb. 서식지: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개화시기: 꽃은 7-8월에 피고 가지끝과 원줄기끝에 4-20개가 밑을 향해 달린다.  꽃말: 꽃말은 ‘순결’, ‘깨끗한 마음’이라고 한다. 《특징》 참나리는 여러해살이풀 ‘참나리’란 이름은 백합과의 나리꽃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꽃이라는 뜻으로 ‘참’이라는 접두어가 붙었다. 참나리는 꽃빛이 붉고 꽃잎이 뒤로 말렸다 하여 `권단`이라는 별칭도 있다.  줄기는 높이 1~2m 정도까지 자란다.  다닥다닥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길이 5~18cm, 너비 5~15mm 정도의 피침형이며  짙은 갈색의 주아가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구분법》 줄기에 잎이 어긋나 있는 것과 둘려..
왕 원추리 분류: 백합목 > 백합과 > 원추리속. 학명: Hemerocallis fulva f. kwanso (Regel) Kitam. 서식지: 산지나 초원에서 자란다. 개화시기: 꽃은 7~8월에 등황색 또는 등적색으로 피고 화경 끝이 2개로 갈라져 많은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수술의 전부 또는 일부가 화피로 되어 겹꽃이핀다. 꽃말: 꽃말은 '기다리는 마음', '하루만의 아름다움'이라고 한다.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길이 60cm에 가까운 줄 모양의 잎이 4~5장 뿌리로부터 자라나며  밑동이 서로 감싸면서 양쪽으로 휘어진다.  잎의 뒷면은 약간 희게 보이며 너비는 1~2cm가량 된다. 잎 사이로부터 1m에 가까운 높이를 가진 꽃줄기가 자라 6..
능소화 분류: 현삼목 > 능소화과 > 능소화속. 학명: Campsis grandifolia (Thunb.) K.Schum. 서식지: 민가 주변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개화시기: 나팔모양의 꽃은 8 ~ 9월에 피고 지름 6 ~ 8cm로 주홍색이지만 겉은 적황색이며,                        가지 끝의 원뿔모양꽃차례에 5 ~ 15개가 정생 한다.  꽃말: 능소화의 꽃말은 명예와 영광, 그리움, 기다림이라고 한다. 《특징》 능소화는 중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심어 기르는 덩굴나무이다.  능소화는 ‘하늘을 능가하는 꽃’이란 뜻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양반들이 이 나무를 아주 좋아해서 ‘양반꽃’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회갈색으로 세로로 벗겨지며 가지에 흡착근이 발달하여 다른 물체에 잘 ..
자귀나무 분류: 콩목 > 콩과 > 자귀나무 속. 학명: Albizia julibrissin Durazz. 개화시기: 꽃은 6∼7월에 연분홍색의 두상화가 우산 모양으로 피는데 작은 가지 끝에서                        길이 5cm 정도의 꽃대가 자라 10∼20개씩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말: 꽃말은 '가슴의 두근거림', '환희'라고 한다. 《특징》 밤낮에 따라 잎이 열리고 닫히는 모습이 낮에는 일 때문에 떨어지고  밤에는 일 때문에 합치는 부부의 모습과 같다고 하여 합환목, 부부목, 사랑목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런 연유로 예전에는 자귀나무를 울타리 안에 정원수로 많이 심었다.  자귀나무처럼 잎이 예민한 미모사(신경초·잠풀)는 외부의 자극에 잎이 오므라들어 붙어 버리지만  자귀나무는 낮에 ..
큰 꽃으아리 분류: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으아리 속. 학명: Clematis patens C.Morren & Decne. 서식지: 전국의 숲 속이나 숲 가장자리의 양지바른 곳에서 비교적 흔히 자란다. 개화시기: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5~10cm로서 백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말: 큰 꽃으아리 꽃말은 ‘아름다운 당신의 마음, 고결’이라고 합니다.  《특징》 큰꽃으아리는 낙엽 덩굴나무로 그 크기가 커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잔털이 있고 길이 2~4m 정도 자라며 갈색이고 덩굴성이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 잎 3~5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길이 3-10cm, 폭 2-5cm이며, 보통 3갈래로..
광릉요강꽃과 복주머니란(국립수목원) 해마다 국립수목원은 광릉요강꽃과 복주머니란을 담으려는 진사님들이 몰려드는 곳이다. 5월 초를 기준으로 광릉요강꽃과 복주머니란은 이쁘게 새 단장을 하고 진사님들을 기다리고 있다. 나 역시 5월 03일 부푼 기대감을 않고 국립수목원으로 간다. 복주머니란은 전체적으로 털이 많은 털복주머니란이 대표적이라 한다. 하지만 지금은 교배종 및 여러 가지 색과 부르는 이름이 많아 이름조차 외우기 힘들다. 복주머니란은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복주머니란의 생육환경은 숲 속의 반그늘이나 양지쪽에서 잘 자란다고 한다. 그러나 해마다 와서 느끼는 것인데 주위의 키 큰 나무에 가려 많은 햇빛이 들어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물론 국립수목원에서 잘 관리하고 있겠지만, 그래서인지 복주머니란의 개체수가 줄어드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