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과 궁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창덕궁의 봄 창덕궁(昌德宮)은 1405년(태종 5) 법궁인 경복궁의 이궁(離宮)으로 창건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 궁궐 중 처음으로 다시 지어졌으며, 이후 역대 왕들이 1867년 경복궁이 중건될 때까지 약 270여년 동안 창덕궁을 더 많이 사용하여 실질적인 법궁의 역할을 하였다. 특히 대조전 부속 건물인 흥복헌은 1910년 경술국치가 결정되었던 비운의 장소이기도 하며, 낙선재 권역은 광복 이후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실 가족(순정황후(순종 두 번째 황후), 의민황태자비(이방자 여사), 덕혜옹주(고종의 딸))이 생활하다가 세상을 떠난 곳이기도 하다.▶돈화문돈화문은 창덕궁의 정문으로 1412년(태종 12)에 처음 지어졌는데 창건 당시 창덕궁 앞에는 종묘가 자.. 온릉과 숲길 온릉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있다. 온릉은 조선 11대 중종의 첫 번째 왕비 단경왕후 신 씨의 능이다. 1557년(명종 12) 단경왕후가 폐비의 신분에서 세상을 떠나자, 친정 집안인 거창 신 씨의 묘역인 지금의 자리에 묘를 조성하였다. 1739년(영조 15)에 단경왕후로 복위되면서 능의 이름을 온릉이라 하고, 묘를 정릉(貞陵, 신덕황후)과 사릉(思陵, 정순왕후)의 예에 따라 다시 조성하였다. [온릉 가는 길] 1호선 가능역 1번 출구에서 38, 360번 버스 이용 신흥유원지 온릉앞 하차. 3호선 구파발역 2번출구에서 360번 버스 이용 신흥유원지 온릉앞 하차. [관람요금] 무료 [주차요금] 무료 (약 20대정도) [온릉 매표 및 관람 시간] 2~5월 / 9~10월 매표시간 09:00~17:00.. 정릉과 숲길 정릉은 조선 1대 태조의 두 번째 왕비 신덕황후 강 씨의 능이다. 1396년(태조 5) 신덕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태조는 취현방(현 서울 중구 영국대사관 근처)에 정릉을 조성하고, 자신이 묻힐 자리까지 함께 만들었다. 그러나 태종이 왕위에 오른 후 정릉의 능역 100보 근처까지 집을 짓는 것을 허락하였다. 1408년(태종 8) 태조가 세상을 떠난 후 다음 해(1409년) 정릉이 도성 안에 있는 것이 예에 어긋난다 하여 성북구 정릉동으로 이장시켜 버렸다.[정릉 가는 길] 우이경전철 정릉역 2번 출구에서 아리랑시장 방향 도보 15분. 4호선 성신여대입구 6번 출구에서 성북 22번 마을버스 또는 1012, 1211번 버스이용 정릉입구 정류장 하차 후 아리랑시장 방향 도보 15분. [관람요금] 대인(만.. 의릉과 천장산 숲길 오늘은 조선의 20대 왕 경종과 왕비 선의왕후가 잠들어 있는 의릉과 의릉 숲길을 대중교통을 이용해 다녀왔다. [의릉 가는 길] 지하철 6호선 돌곶이역 8번 출구 도보 800m. 청량리역 환성센터 120, 147, 216번 이용 의릉입구 하차 도보 5분. [관람요금] 대인(만 25세~만 64세) : 개인 1,000원 지역주민(성북구, 동대문구) : 50% 할인(신분증 제시) 매월 마지막 수요일(문화가 있는 날) : 무료 [주차요금] 무료 [의릉 매표 및 관람 시간] 2~5월 / 9~10월 매표시간 09:00~17:00 관람시간 09:00~18:00 [6~8월] 매표시간 09:00~17:30 관람시간 09:00~18:30 [11~1월] 매표시간 09:00~16:30 관람시간 09:00~17:30 지하철 6호.. 영휘원과 숭인원 영휘원은 대한제국 1대 고종의 후궁이자 의민황태자(영친왕)의 생모 순헌황귀비 엄 씨의 원이다. 영휘원은 1911년 황귀비 엄 씨가 세상을 떠나자, 명성황후의 홍릉(옛 홍릉) 경내인 현재의 자리에 조성되었다. 영휘원은 조선시대 왕 생모의 무덤 제도(궁원제)에 따라 조성되었다. 또한, 숭인원은 엄 귀비의 아들이며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의 맏아들 이진의 원이다.[대중교통] 1호선 청량리역 2번 출구로 나와 홍릉방향 도보 10분. 6호선 고려대역 3번 출구로 나와 홍릉방향 도보 10분. 1호선 청량리역 2번 출구로 나와 201, 1227번 이용 세종대왕기념관 하차. [ 입장료] 입장료: 1, 000원. 지역주민 50% 할인. 문화가 있는 날 무료. 장애인, 유공자 무료. 만 24세 이하 및 만 65세 이상.. 연산군 묘 이곳은 연산군과 거창군부인의 묘를 비롯하여 태종의 후궁 의정궁주 조 씨의 묘, 연산군의 딸(휘순공주)과 사위(능양위 구문경)의 묘가 같이 있다. 이 묘역은 원래 세종의 아들 임영대군의 땅이었는데, 임영대군은 세종의 명으로 자식이 없던 태조의 후궁 성비 원 씨와 태종의 후궁 의정궁주를 모셨다. 1454년(단종 2) 의정궁주가 세상을 떠나자 자신의 땅인 현재의 자리에 묘를 조성하고 제사를 맡았다. 이후 임영대군의 첫째 아들 오산군이 맡았고, 오산군의 묘 역시 이 근처에 조성되어 오산군 파에서 묘를 관리하였다. 그러다가 1512년(중종 7) 임영대군의 외손녀인 거창군부인이 강화 교동에 있던 연산군묘를 자신의 외할아버지 땅인 지금의 자리로 옮겨달라고 중종에게 요청하였다. 이로 인해 원래 있던 의.. 홍유릉(고종과 순종) [홍유릉, 홍릉과 유릉]홍릉에는 조선의 제26대 고종과 명성황후가 그리고 제27대 순종과 순명효 황후, 계비 순정효황후의 유릉이 나란히 있다. 두 능을 합쳐서 ‘홍유릉’이라고 부르며, 때론 '금곡릉'이라 불러기도 한다. 명성황후는 원래 1897년 청량리 홍릉에 묻혔다가 1919년 고종이 세상을 뜨자 지금의 자리로 옮겨왔다. 홍릉과 유릉은 기존의 조선왕릉 형식이 아닌 대한제국 황제릉의 형식으로 조성되었다. 그래서 우리나라 역사상 마지막 왕릉이자 최초의 ‘황릉’이라고 한다. [홍유릉 역사]1897년(광무 1) : 고종 황후 명성황후의 홍릉 조성.(현 서울 청량리 홍릉수목원 경내) 1900년(광무 4) : 황제릉의 형식으로 현재의 자리에 홍릉 공사.1905년(광무 9) : 순종 첫 번째 황태자비 순명비의.. 남양주 광릉 (세조, 정희왕후)숲길 계방 [광릉]광릉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에 위치한 조선 7대 세조와 정희왕후 윤 씨의 능으로 사적 제197호로 지정되어 있다. 광릉은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성한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의 형식으로 조선왕릉 중 최초로 조성된 형식이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 언덕(서쪽)이 세조, 오른쪽 언덕(동쪽)이 정희왕후의 능이다. 광릉은 1468년(예종 즉위)에 세조가 세상을 떠나자, 현재의 자리에 조성되었다. 본래 이 자리는 동래정 씨 정창손의 선대묘역이 있던 자리였으나, 광릉이 조성되면서 동래정 씨 묘역은 다른 곳으로 옮기게 되었다. 이후 1483년(성종 14) 정희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광릉 동쪽 언덕에 능을 조성하였다. 이때 능의 이름을 동광릉(東光陵).. 이전 1 2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