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44)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대문 안산 자락길 서대문구 안산 자락길 7km 길이의 전국 최초의 순환형 무장애 자락길로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 등 보행약자는 물론 휠체어, 유모차도 쉽게 숲을 즐길 수 있는 숲길이다. 안산 자락길은 구간별로 아까시숲, 메타세콰이아숲, 가문비나무숲 등 다양한 숲을 즐길 수 있으며 동서남북 방향에 따라 한강, 인왕산, 북한산, 청와대 등 다양한 조망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안산 자락길 안내도.오늘은 안산 자락길을 대중교통을 이용해 다녀왔다.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5번 출구로 나와 좌측 독립공원을 둘러보고 올라가기로 한다.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서대문형무소역사관 건물은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으로 설립되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은 1945년까지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었던 곳이다. 해방 이후에는 서울구치소.. 온릉과 숲길 온릉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있다. 온릉은 조선 11대 중종의 첫 번째 왕비 단경왕후 신 씨의 능이다. 1557년(명종 12) 단경왕후가 폐비의 신분에서 세상을 떠나자, 친정 집안인 거창 신 씨의 묘역인 지금의 자리에 묘를 조성하였다. 1739년(영조 15)에 단경왕후로 복위되면서 능의 이름을 온릉이라 하고, 묘를 정릉(貞陵, 신덕황후)과 사릉(思陵, 정순왕후)의 예에 따라 다시 조성하였다. [온릉 가는 길] 1호선 가능역 1번 출구에서 38, 360번 버스 이용 신흥유원지 온릉앞 하차. 3호선 구파발역 2번출구에서 360번 버스 이용 신흥유원지 온릉앞 하차. [관람요금] 무료 [주차요금] 무료 (약 20대정도) [온릉 매표 및 관람 시간] 2~5월 / 9~10월 매표시간 09:00~17:00.. 홍릉숲 홍릉수목원은 1922년에 임업시험장이 창설되면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조성된 수목원으로다양한 임업 시험과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이곳은 조선왕조 고종의 왕비인 명성황후 능(1897년)이 있었던 홍릉 지역이며임업 시험장을 설치하면서 수목원으로 조성되었다.제1수목원에서 제9수목원까지 침엽수, 활엽수, 관목, 외국수목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고산식물원, 약용식물원, 난대식물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홍릉 가는 길] 1호선 청량리역 하차 2번 출구로 나와 홍릉방향 도보 15분 6호선 고려대역 하차 3번 출구로 나와 도보 10분 1126, 201, 273번 이용 세종대왕 기념관 하차. [이용안내] 주말 : 주말은 예약 없이 입장, 자유관람(평일엔 자유 관람 불가) 평일(화~금요일) : 숲해설 프로그램(사전예.. 양주 천만 송이 천일홍 축제 경기 양주시의 대표적인 축제 ‘양주 천만 송이 천일홍 축제’가 나리공원에서 개최되어 쌩~하게 다녀왔다. 천장산 하늘길 오늘의 트레킹 코스는 홍릉과 의릉이 있는 '천장산 하늘길'이다. 천장산 하늘길은 2020년 1월에 국립산림과학원(홍릉숲)에서 이문어린이도서관으로 이어지는 총 1.76㎞ 코스로 조성되었다. 기존 임도와 숲길을 최대한 활용해 자연을 보전하며 정비돼 어느 산책로보다도 자연 친화적이다. 또한 방문객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산책할 수 있도록 지형에 맞춰 목재 데크와 계단, 야자 매트 등이 설치됐고 야간조명과 무인 감시카메라도 갖췄져 있다. [천장산 하늘길 가는 길] 1) 지하철 6호선 고려대역 3번 출구로 나와 정릉천을 지나 홍릉수목원과 KAIST 사이에 천장산 하늘길 입구 표지판이 있다. 2) 지하철 1호선 외대역 1번 출구로 나와 동대문 02번 마을버스 이용 삼성래미안 정류장 하차 도보로.. 태종의 증오심으로 빚어진 광통교 국력이 광대하게 뻗어 나가라는 뜻의 광통교는 청계천에서 가장 중요한 다리로서, 청계천 다리 중 가장 많은 소통을 담당하고 있었다. 도성 밖에서 남대문으로 들어와서 곧장 직진하면 광통교에 이르기 때문이다. 1410년 홍수로 청계천 다리가 떠내려가자, 태종은 신덕왕후 무덤에 있는 병풍석을 가져와서 다리를 만들라고 명했다. 백성들이 밟고 다니는 다리에 왕비의 무덤에 있는 돌을 쓰게 한 것이다. 고인의 무덤을 훼손한 것으로도 모자라 병풍석마저 백성들이 밟고 다니게 한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다리가 지금 청계광장을 기준으로 두 번째 다리인 청계천 광통교다. 원래 현재의 광교 자리에 있었으나 교통편의를 위하여 현대식 교량(광교)을 건설하고 상류 쪽으로 150m 옮겨 이전 복원하게 되었다.청계천 다리 .. 정릉과 숲길 정릉은 조선 1대 태조의 두 번째 왕비 신덕황후 강 씨의 능이다. 1396년(태조 5) 신덕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태조는 취현방(현 서울 중구 영국대사관 근처)에 정릉을 조성하고, 자신이 묻힐 자리까지 함께 만들었다. 그러나 태종이 왕위에 오른 후 정릉의 능역 100보 근처까지 집을 짓는 것을 허락하였다. 1408년(태종 8) 태조가 세상을 떠난 후 다음 해(1409년) 정릉이 도성 안에 있는 것이 예에 어긋난다 하여 성북구 정릉동으로 이장시켜 버렸다.[정릉 가는 길] 우이경전철 정릉역 2번 출구에서 아리랑시장 방향 도보 15분. 4호선 성신여대입구 6번 출구에서 성북 22번 마을버스 또는 1012, 1211번 버스이용 정릉입구 정류장 하차 후 아리랑시장 방향 도보 15분. [관람요금] 대인(만.. 딱새 분류 : 조류강> 참새목> 솔 딱새과 학명 : Phoenicurus auroreus (Pallas, 1776) 서식지 : 산림 가장자리, 덤불, 강변 잡목 숲, 인가등 산란기 : 알 낳는 시기는 5~7월이며 한배에 낳는 알의 수는 5~7개이다. 알은 흰색과 청색 바탕에 붉은색, 붉은 갈색의 얼룩무늬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하루에 1개씩 알을 낳고 마지막 알을 낳은 직후에 알을 품는다. 암, 수 구분 : 수컷은 머리꼭대기와 뒷목이 회색이며, 머리의 나머지 부분과 등을 비롯한 몸의 윗면은 검은색이다. 암컷은 허리와 바깥 꼬리 깃이 황갈색이고 가운데.. 이전 1 2 3 4 5 6 ··· 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