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접사 갤러리

(82)
복주머니꽃 난초과 복주머니란속에 속하는 풀꽃으로 근경은 짧고 옆으로 누워서 뻗으며 뿌리는 약간 크고 단단하다. 초장은 20∼50cm 정도 되며 3∼5엽이 호생한다. 잎에는 흰색의 털이 있고 긴타원형으로 길이는 10∼20cm, 폭은 5∼8cm로 꽃은 정생하고 연분홍색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직경 4∼6cm이고 상부의 꽃받침은 뾰족하고 아래로 숙이고 있다. 설판은 주머니형으로 주머니 크기에 비해 입구가 좁으며 주름과 같은 선이 방사형으로 있다. 양옆의 꽃잎은 분홍백색으로 끝은 좁아지면서 뾰족하며 진분홍색의 세로줄 무늬가 있다. 우리나라에 3종 2변종이 자생한다고 한다. 유사종으로는 노랑복주머니꽃 : C.calceolus L. (노랑개불알꽃) 털복주머니꽃 : C.guttatum Sw.var koreanum Naka..
아이리스 자포니카 (Iris japonica : 일본붓꽃) 백합목 붓꽃과 상록성의 여러해살이풀로써 개화시기는 4월~5월 경이다. 상록의 다년초로 땅 속을 기는 가는 근경을 길게 뻗으며 번식한다. 성질이 강하여 음지에서도 잘 자라며 나무 그늘 아래서도 군생한다. 잎은 근경의 선단에서 4~5개가 나고 약간 육질이 두꺼우며 폭은 3~4㎝, 길이 40~60㎝ 정도로 칼 모양으로 두열로 호생하며 편평하게 모여져 늘어져 보이면서 자란다. 잎은 선녹색으로 양면에 광택이 있다. 꽃은 직경이 5~6㎝ 정도이고 백색이다. 한국에는 약 14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꽃말은 반항이라고 한다.
천남성 천남성은 우리나라 각처 숲의 나무 밑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토양이 비옥하고 물 빠짐이 좋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20~50㎝이고, 잎은 길이가 10~20㎝이고 5~10갈래로 갈라지며 긴 타원형이고, 작은 잎은 양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있다. 꽃은 녹색 바탕에 흰 선이 있고 깔때기 모양으로 가운데 꽃 차례 중의 하나인 곤봉과 같은 것이 달려 있으며, 꽃잎 끝은 활처럼 말린다. 열매는 10~11월에 붉은색으로 포도송이처럼 달린다. 천남성은 옛날에 사약의 재료로 썼다. 천남성, 섬남성, 두루미천남성, 둥근 잎 천남성, 큰 천남성 등 천남성과에 드는 식물은 모두 독이 있어 먹으면 안 된다. 전체에 독이 있지만, 뿌리는 약으로 쓴다. 꽃말은 보호, 비밀, 현혹, 전화위복이라고 ..
자란 자란은 난초과 자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붉은 자주색 꽃이 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대암풀, 내왕풀, 백급이라고도 불리 운다. 5~6월에 잎 사이에서 꽃대가 나와 50㎝ 정도 자란 다음 6~7개의 홍자색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포는 길이 2~3㎝로서 꽃이 피기 전에 1개씩 떨어진다. 꽃은 지름 3㎝이며 화피열편은 같은 형태로서 길이 2.5~3㎝, 너비 6~8mm이고 끝이 뾰족하며 비스듬히 반쯤 벌어지고 맥이 있다. 입술 모양 꽃부리는 쐐기 비슷한 거꿀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약간 안쪽으로 말리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중앙부의 것은 거의 둥글고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으로서 안쪽에 5개의 도드라진 능선이 있으며 암술대는 길이 2㎝ 정도이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는 희귀식물(취약종)로 ..
양지꽃 장미과 여러해살이풀로 산기슭이나 풀밭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개화는 4~6월에 지름 1.5~2cm인 노란색의 5판 화가 줄기 끝에 취산 꽃차례를 이루며 10송이 정도 달려 핀다. 5개인 꽃받침 조각은 달걀을 닮은 댓잎 피침형이다. 수술과 암술은 많으며 꽃바침에 털이 있다. 꽃말은 사랑스러움이라고 합니다.
산이스라지 산이스라지는 장미과의 낙엽 관목으로 우리나라 특산종이며 산지의 숲속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고 장미과 벚나무속이다. 높이는 1m 정도 되고 잎은 어긋나게 달리며 난상 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끝은 길게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겹톱니가 촘촘히 있고 잎자루에 털이 있다. 꽃은 흰색 또는 분홍색이나 보통 분홍색이고 4~5월에 가지마다 산형꽃차례로 잎이 나면서 함께 피며 수술은 많다. 산이스라지는 이스라지와 닮았으나 꽃자루는 털이 없으며 꽃받침에 선 모양의 톱니가 있고 털이 없으며 씨방에 갈색 털이 밀생하는 점이 다르다고 한다. 유사한 종류로 털이스라지(잎맥에 털이 많다)와 이스라지(꽃잎은 타원형으로 수술이 꽃잎보다 짧으며 암술대에 잔털이 있음)가 있다.
광릉요강꽃 광릉요강꽃은 난초과의 복주머니란 속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광릉요강꽃의 이름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곳이 광릉이고, 꽃 모양이 요강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잎이 치마를 닮아서 ‘치마난초’, 우리나라의 복주머니란 종류 중에서도 꽃이 가장 커서 ‘큰복주머니란’이라고도 불린다. 광릉요강꽃은 해발 300~1,100m의 산지에 분포하며, 반그늘이 진 곳이나 햇볕이 잘 들지 않고 물 빠짐이 좋은 경사지와 수목이 우거지고 영양 상태가 좋은 부엽질의 토양에서 잘 자란다. 한때 경기도 일대에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는 국립수목원이 있는 경기도 포천의 광릉 이북 지역과 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등의 일부 산지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되고 있다고 한다. 광릉요강꽃의 꽃말은 숲의 요정이라고 하네요.
깽깽이풀 매자나무과 여러해살이풀로써 지구상에 딱 2종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우리나라에 나는 것이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풀을 강아지가 뜯어먹고 환각을 일으켜 ‘깽깽’거렸다고 해서 깽깽이풀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실제로 강아지가 이 꽃을 잘 먹는다고 한다. 그런데 다른 이야기도 전해진다. 연한 보랏빛 꽃이 유난히 예쁜데, 이 꽃이 필 때는 농촌에서는 아주 바쁜 시기다. 농사를 준비하는 바쁜 철에 이렇게 아름답게 피어난 모습이 마치 일 안 하고 깽깽이나 켜는 것 같다고 해서 깽깽이풀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깽깽이풀은 매자나무과에 속하며, 뿌리가 노란색이라서 조황련 또는 선황련이라고도 부른다. 꽃말은 "안심하세요" 라고 하네요.